TMLF : MLF를 변형한 조치, 중소기업에 시중 금리보다 낮은 이자로 장기 대출자금을 지원하는 일종의 민영기업 대출을 위한 특별 저리 자금

 

*2020년 1월 31일

- 큰 폭의 실적 변동이 발생한 경우, 중국 상장사들은 1월 31일 이전에 공시 마쳐야 함

 

*2020년 1월 23일(목) (금리 3.15%, 금리동결)

- 2405억 위안( 1년 만기 맞춤형 중기유동성지원창구(TMLF) 공급

- 2575억 위안 어치 TMLF 만기 도래

- 따라서 170억 위안(2.9조원) 상당의 유동성이 순회수됨

 

*2020년 1월 20일(월)

-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LPR을 4.15%로 동결

- 5년 만기 LPR : 4.80%

 

*2020년 1월 19일(일)

- 역RP 운영을 통해 2000억 위안 공급 (34조원)

 

*2020년 1월 16일(목)

- 역RP 운영을 통해 3000억 위안 공급 (51조원)

 

*2020년 1월 15일(수)

- MLF와 단기 유동성 조절 수단인 역RP 운영을 통해 4000억 위안을 공급 (68조원)

 

 *2019년 12월 20일

- 이때도 LPR 동결

 

*2019년 11월 15일(금)

- MLF를 통해 200억 위안 긴급 투입 (이자율 3.25%)

 

*2019년 8월 17일(토)

- LPR산출 방식 변경

- LPR = Loan Prime Rate

- LPR = 기준금리 역할을 할 대출우대금리

- (기존) 2013년부터 10개 대형 중국 은행들로부터 LPR를 보고받아 평균치 발표 (1년 만기 담보대출금리가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

- (현재) 신규 대출 우대금리는 1년 만기와 5년 만기 2가지

- 2019년 11월 기준, 1년 만기 LPR = 4.25%, 5년 만기 LPR = 4.85%

 

*중국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 장치

- 1차 : MLF(중기유동성지원창구) -> 기업들의 유동성 문제 해결

- 2차 : LPR(대출우대금리) -> 시중 자금 수요 조절

 

*알리바바 홍콩 증시 상장 (2019년 11월)

*샤오미    홍콩 증시 상장 (2018년 7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