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돈이 풀리면서 당연히 금이 올랐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유동성은 실물 자산과 상관없는 코인으로 몰려서 금이 상대적으로 오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만약 6월말에 코인이 흔들린다면, 이 유동성이 금으로 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코인을 불법화해버리면서 유동성을 단칼에 없애버린다면, 연준 입장에서는 시중 유동성을 확실히 줄여버릴 수 있어서 좋을 것입니다. (코인에 투자한 사람들에겐 큰 충격이 있을 것이나 인구 전체로 볼 때 소수이고, 유동성이 곡물, 철강 등의 인플레를 더 크게 만들면 전 세계 인구 대다수가 고통을 겪어야 할 것입니다.)

만약 코인을 단칼에 없애버리지 않고, 큰 충격을 준다면, 즉각적으로 코인에 머물던 유동성이 다른 자산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이 때 금도 이 유동성이 향하는 목적지 중 하나 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중에 푼 돈이 줄어들지 않는 이상, 인플레는 확실히 발생할 수 밖에 없고, 금은 인플레 방어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금 가격 그래프를 보면 바닥을 찍고 반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5월 수준입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관련링크
https://mezzaninex.tistory.com/m/entry/미국주식-비트코인-ETF-SEC-승인-연기

[미국주식] 비트코인 ETF SEC 승인 연기

SEC가 비트코인 ETF 승인 여부 발표를 4월 29일에서 미뤄서 6월 17일로 연장시켰습니다. 만약 미국이 비트코인을 투자 자산으로 인정할 결론을 가지고 있다면 이번에 승인을 해줬을 겁니다. 만약 인

mezzaninex.tistory.com


추가링크
https://mezzaninex.tistory.com/m/entry/중국주식-키리바시-칸톤섬-중국-비행장-건설-추진

[중국주식] 키리바시 칸톤섬 중국 비행장 건설 추진

하와이에서 남서쪽으로 3,000KM 떨어져 있는 키리바시 라는 나라의 칸톤이라는 섬에 중국이 비행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년 1월 6일 베이징 인민대 회당에서 키리바시 대통령과 왕이 외무

mezzaninex.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