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MezzanineX(메자닌엑스) 입니다!

현재 금리 상승의 원인은 인플레이션 기대가 가장 크다. 그러면 인플레이션의 상단은 어디일까?

인플레이션 기대 때문에 금리가 오를 것이라 생각해서 채권을 가지고 있으면 돈이 녹기 때문에 채권을 팔고 있다.

채권을 다시 사는 시점은 더 이상 금리가 오르지 않고 떨어질 것이라 생각하는 시점 부근일 것이다. 만약 금리가 4% 부근에 도달했다고 해도, 금리가 6% 로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면, 4% 여도 채권을 사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금리의 상단 예상치가 중요해보인다.

따라서 현재 금리 상승의 원인인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 인플레이션의 각 원인들이 언제 소멸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여러 가지다. 가장 큰 원인은 유동성 증가이다. 돈이 많이 풀려서 모든 자산의 가격이 올랐다. 원유, 철강, 구리 등 원자재 가격이 올랐다. 유동성은 바이든의 1.9조 지원책이 더해질 예정이다. 그러나 일단 지금 시점에서는 이것이 마지막으로 보인다. 즉 1.9조 이후로는 더 이상 유동성 증가는 없다. 그런데 1.9조 부양책을 하는 이유를 생각해봐야 한다. 그 이유는 경기를 살리기 위함이다. 그것을 센싱할 수 있는 measure는 실업률이다. 실업률이 낮아진다면 경기가 좋다는 얘기다. 그때부터는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아야 한다. 안그러면 occupy wallstreet 사건이 재현될 수 있다. 실업률이 잡히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준 채권 매입액 축소 및 기준 금리 인상 등으로 유동성을 줄일 수 있다. 시장은 항상 각종 뉴스와 정책에 빨리 반응하므로 유동성 감소 얘기가 나오면 그 시점에 유동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기대가 꺾이기 시작할 것이다. 따라서 연준이 목표로 하는 실업률의 하단에 도달하는 그 때의 인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의 상단이다. 왜냐면 연준은 그때부터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기 위해 행동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실업률 데이터를 보면 4% 부근이 저점이다.
미국의 자연실업률이 4.1% 라는 기사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실업률 4%가 될 때가 인플레이션의 상단이다.

이 때부터 연준의 목표는 인플레이션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그러면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는 어디인가?

연준은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가 2% 라고 발표를 해왔다. 예전에는 포인트로 2% 가 목표였으나, 지금은 평균으로 2% 가 목표다. (몇 년 평균인지 발표하지 않았다.)

인플레이션 measure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 BEI 를 본다.

BEI의 히스토리는 다음과 같다.

현재는 2%를 좀 넘은 상황이다. 하지만 코로나 때는 1% 초반이었다. 코로나 때가 20년 2~3월이었다. 2년 평균으로 잡을 때 20년 1월~21년 12월이다. 3년 평균으로 잡을 때 20년 1월~22년 12월이다.

2년 평균으로 잡는다면 10년물 BEI 최저점이 1%이므로 평균 2%가 되기 위해서는 3%까지 허용할 수 있다. 20년물 BEI 기준으로는 1.3%이 최저점이니 2.7%까지 허용할 수 있다. 30년물 BEI 기준으로는 1.35%가 최저점이니 2.65%까지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 상단은 2.65%~3% 수준으로 예상한다.

10년물 미국채 금리 = TIPS + BEI 이다.

TIPS의 히스토리를 보면 다음과 같다.


10년물 미국채 기준 TIPS 최근 상단은 1.1% 정도이고, 평균적으로는 0.4% 정도이다. 따라서 10년물 BEI 상단값 3% 에다가 TIPS 상단값 1.1%를 더하면 4.1%이다. 평균값 0.4%를 더하면 3.4%이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10년물 미국채 금리의 고점은 3.4%~4.1% 정도라고 생각할 수 있다.

21년 3월 10일자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1.5%이다. 따라서 3.4%까지 대략 2배까지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는 상단이다. maximum이 이 정도로 예상된다는 얘기이다.

미국 모기지 금리는 미국채 10년물 보다 1.5%~2.0% 정도 높다. 따라서 만약 미국채 10년물이 3.4%까지 가면 미국 모기지 금리는 4.9%~5.4%까지 올라간다. 즉, 미국 모기지 금리가 올라가도 최대치 수준은 4.9%~5.4% 이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