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MezzanineX(메자닌엑스) 입니다!

20년 12월 30일 EU와 중국 양자간 투자협정(CAI)이 체결되었습니다. (1) 타이밍, (2) 브렉시트, (3) 이 시점의 국제 정세 구도, (4) 중국의 소비국가로 전환, (5) 중국이 얻는 것들 측면에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1) 타이밍

20년 12월 30일에 체결한 것으로 보아서 꼭 하고 싶었던 의지와 빠르게 하고 싶었던 의지가 느껴집니다.

일정상 1월 2개 지역 미국 상원 투표가 있고, 1월 21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기에, 이러한 미국 쪽 이벤트 전에 조속히 타결을 원한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이 정신없는 틈을 타서 체결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이는 상대국인 EU도 원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입니다.

(2) five eyes 영국이 빠진 EU (브렉시트 이후 체결)

20년 12월 24일 영국과 EU가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브렉시트 체결을 했습니다. "영국과 EU 미래 관계 협정 타결" 입니다.

그리고 이 타결 이후 6일 뒤(일주일 만에) 20년 12월 30일 중국과 EU 투자 협정이 체결된 것입니다. 아마도 영국이 EU에서 빠지는 것이 선결조건이었던 걸로 보입니다.

five eyes인 영국은 아무래도 미국 동맹국이니 현재 분위기 상 중국과 투자협정을 하긴 어려웠을 것으로 보입니다.

(3) 이 시점의 국제 정세 구도(뇌피셜)

미국, 일본, 중국, EU, 러시아 이렇게 5개 주체들이 글로벌 강자이자 메인세력이라 생각합니다. 이 5개 주체들을 2개 세력으로 나눠보면 현재 제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쪽 : 미국 + 일본 + (EU)
- 중국 쪽 : 중국 + 러시아 + (EU)

합종연횡의 시대에서 저성장에 시달리는 EU에게 중국은 소비시장 개방이라는 당근을 주고 EU를 포섭한 것으로 보입니다.

(4) 중국의 소비국가로 전환

중국이 소비국가로 전환된다는 말은 중국의 소비력을 증가시키겠다는 말입니다. 그러려면 중산층이 두꺼워져야 합니다.

결국 농촌의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3선 도시를 더 크게 만들 것입니다.

왜냐면 중산층이 생기게 하려면 임금 소득을 늘려주던가, 자산 소득을 늘려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특정 지역을 도시화시키면 인프라 투자가 집중이 되면서 일자리가 생기면서 임금 소득이 늘어나고, 동시에 그 지역의 땅 값이 올라가기 때문에 자산 소득이 급증합니다.

그리고 이 지역의 기업이 성장하면서 이 기업의 주가가 올라갑니다. 이 기업의 주식을 포트폴리오로 가지고 있는 퇴직연금펀드는 계속 수익이 높아질 것이며, 이는 곧 개인의 퇴직 자산이 되어 구매력이 올라갑니다.

정리하면 도시화로 임금소득, 땅 값 상승을 통한 자산소득, 이 지역 기업 주가 상승을 통한 자산소득으로 좀 더 많은 인구가 소비력이 올라갑니다.

이 소비력 커지는 시장으로 EU는 들어오고 싶었을 것입니다.

(5) 중국이 얻는 것들

[1] 중국은 미국과의 패권 전쟁에서 EU를 같은 편으로 끌어들일 수는 없어도 적어도 적으로는 만들지 않게 됩니다.

[2] 또한 자본조달의 측면을 보겠습니다. 자본주의에서는 자본의 힘이 중요한데, 예를 들어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려면 자본조달이 원활히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그 돈을 가지고 크게 투자를 해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에서 돈을 버는 주요 주체인 기업은 기술력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대규모 자본 조달을 통해 연구개발에 돈을 퍼부어서 기술력을 올리려고 할 것입니다. 기술력은 국가 차원에서 보면, 곧 무기 개발 등 군사력으로 이어지고, 패권국의 펀더멘털이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본이 필요한데, 미국은 이걸 알고 중국 기업 투자 금지, MSCI 지수에서 중국 주요 테크 기업 배제, FTSE 지수에서 중국 주요 테크 기업 배제 등의 조치를 하고 있었습니다. (요새는 ETF등 패시브 투자가 대세이기 때문에 지수에 편입 여부가 중요합니다.)

그런데, 글로벌에서 자본을 누가 가장 많이 가지고 있냐면, 패권국이었던 영국과 패권국인 미국이 당연히 제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자본주의가 생긴 이후부터 패권국의 역사가 길기 때문에 엄청난 자본을 쌓아놓았고, 또한 달러를 찍어낼 힘도 가지고 있습니다.

블랙락, 뱅가드, 인베스코, 피델리티, 제이피모건스탠리 등등 패시브 펀드 규모만 보면 알 수 있고, 이 펀드들은 세상의 대부분의 중요 기업들에 다 어느 정도는 투자되어 있어, 미국과 영국의 자본의 글로벌 영향력은 어마어마 합니다. 기득권입니다.

여하튼 미국 자본이 구조적으로 중국에 들어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니 이를 대체해서 유럽을 타겟으로 해서 자본을 끌어오려는 계획이고, 그게 양국의 니즈에 의해서 성사된 것입니다.

*향후
세상은 정반합, 작용과 반작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압박에 대해서 중국은 듀얼 서큘레이션과 EU와의 투자협약으로 액션을 했습니다. 이에 다시 미국이 액션을 할 것입니다. 다만 미국 국내 이슈들을 먼저 정리한 후 진행할 것으로 보여 내년 중반 이후 쯤에는 미국의 반격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https://mezzaninex.tistory.com/m/entry/Hang-Seng-TECH-Index-Futures-Options

Hang Seng TECH Index Futures & Options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MezzanineX(메자닌엑스) 입니다! *협찬 https://m.smartstore.naver.com/digshop 디그샵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반려동물의

mezzaninex.tistory.com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