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MezzanineX(메자닌엑스) 입니다!

현재 미국이 5G에서 중국에 뒤쳐진 상태입니다. 미국은 중국 5G를 방해하면서, 동시에 6G에서 승부를 보고자 "넥스트G연합"을 발족했습니다.
여기에는 퀄컴,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에릭슨, 삼성, 노키아, 티모바일, 버라이즌, AT&T, bell 등이 참여합니다.
미국이 이렇게 움직이는 것을 보면, 통신 기술이 미래 핵심 기술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습니다. 패권국들은 절대 포기하지 못하는 기술이 통신 기술입니다.

통신 기술은 10년 단위로 움직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3G가 2000년대 초반에 깔려서 2010년까지 진행되었고, 4G가 2010년 초에 아이폰4 나올 때부터, 2020년까지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2020년부터 2030년까지는 5G 시대입니다. 6G는 지금부터 연구하여 10년 후 상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4G시대 10년 동안, 4G 덕분에 인류는 모바일로 이동했습니다.
[1] 통신 속도가 빨라지면서 모바일에서 동영상을 볼 수 있게 되었고, 유투브가 TV를 대체했습니다. 이젠 예전처럼 공중파3사에 입사하기 위해 언론고시를 볼 필요가 없이, 창의력를 가지고 직접 컨텐츠를 만들어 유투브에 올리고, 시청자들의 평가를 바로 받으면 됩니다.
[2] 이마트 매장에 가서 과일을 안 사고, 쿠팡앱에서 신선 식품을 주문하면 집 앞으로 새벽 배달을 해주는 시대입니다.
[3] 게임도 이제 더 이상 PC로 하지 않고, 모바일로 하며, 핸드폰은 모두 가지고 있기에, 이로 인해 예전에 게임을 하지 않았던, 많은 여성과 많은 중장년 층도 게임을 즐기는 시대입니다.

5G 시대에서 킬러앱은 무엇일까요? 사람들이 언급하는 것은 VR, AR, 자율주행차 등입니다. 일단 속도가 빨라지고, 더 커진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고, 끊김이 줄어드니(low latency) 기술의 한계로 불가능했던 서비스들이 이제 실현될 것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일단 통신 속도가 빨리지면, 더 이상 모바일폰은 엄청 큰 저장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됩니다. 4G시대에서 우리는 32GB 아이폰보다 64GB 아이폰을 선호합니다. 더 많은 앱과 사진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앱이 용량이 큰 이유는 통신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용량이 큰 고정적인 부분은 미리 앱으로 다운 받게 하고, 용량이 작은 변동적인 데이터만 주고 받으면서 서비스를 합니다. 통신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미리 앱으로 깔아놓은 것입니다. 5G로 속도가 빨라지면, 설치할 필요없이 대용량 데이터를 보내서 서비스할 수 있기에, 여러 앱을 미리 설치해 둘 공간이 필요가 없어집니다.

[1] 사진 용량보다 동영상 용량이 큽니다. 4G가 되면서 동영상 정도는 빠르게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 데이터가 엄청나게 소비되었습니다. 이 커진 데이터를 저장할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었고, 통신 데이터 사용량도 계속 늘어났습니다. 라이다(LIDAR) 데이터는 동영상 정보와 물체까지의 거리 정보 등이 포함되어서 용량이 동영상 데이터보다 훨씬 큽니다. 실시간으로 모빌리티의 이동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 모빌리티 데이터는 국내 기준으로만 생각해도 수천만대의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철도, 선박, 비행기에서 생성됩니다. 이 데이터 속에서 분명 새로운 서비스들이 태어날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사람들이 모빌리티를 많이 가지고 있지만, 모든 사람들은 집을 사용합니다. 주거공간은 필수재이기 때문입니다. 이 필수재인 집안에서도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티비, 건조기, 세탁기, 청소로봇, 도어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스마트전구, 스마트커튼, 각종 센서 등에서 실시간 생활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침대에도 센서를 달 수 있고, 쇼파에도 센서를 달 수 있고, 샤워기에도 센서를 달 수 있습니다. (이케아가 IoT에 뛰어드는 이유일 것입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서도 새로운 서비스가 태어날 것입니다.
[3] 이 수많은 데이터를 조합해서, 위험관리 서비스도 탄생할 수 있습니다. 사고가 발생해야, 사후적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형태인 현재의 보험 서비스도 사전적으로 사고가 나기 전에 미리 위험을 알려주는 사전적 위험관리 서비스에 시장을 내줘야 할지도 모릅니다.

*결론
결국 수많은 센서들이 지구를 덮을 것이고, 그 센서에서 수많은 데이터가 생성되고, 5G 그리고 6G를 통해 이 실시간 데이터가 빠르게 전송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해서, 사업가들은 비즈니스를 할 것이고, 위정자들은 국가를 경영할 것입니다. 상대국의 데이터를 갖게 되면, 스타크래프트에서 맵핵을 키고 싸우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전쟁이며, 이 데이터를 이용해서 만든 AI의 전쟁이며, 많은 데이터를 생성시켜야 하므로, 모바일폰+전기차+집안의 센서 들의 전쟁이며, 이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시키는 5G, 6G의 전쟁입니다.
청동기 문명을 철기 문명이 이겼고, 화약의 발견이 총을 만들고 화살을 이겼습니다. 기술은 곧 군사력이고, 기술 전쟁은 곧 군비 경쟁이라고 생각합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