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MezzanineX(메자닌엑스) 입니다!

*이스트스프링 자산운용

- 영국 prudential 금융그룹의 자산운용 부문 브랜드 중 하나

- 2002년 영국 prudential 그룹이 "굿모닝 투자신탁"을 인수

- PCA투신운용으로 사명 변경

- PCA자산운용으로 사명 변경

- 2012년 이스트스프링 으로 브랜드 변경

 

*KTB 투자증권

- 1981년 한국기술개발주식회사 설립

- 1999년 KTB자산운용 설립 (민영화)

- 김한진 박사가 현재 근무 중

 

*펀드 클래스에 따른 수수료

 

*일반 개인용

- 수수료 제일 비쌈, 판매보수가 가장 비쌈

- Class A

  : 선취판매수수료 부과

  : 펀드 신규 매입시 발생

  : 투자금액의 몇 %

- Class C

  : 선취판매수수료가 없음

  : 판매보수가 Class A보다 더 비쌈

- Class B

  : 후취판매수수료 부과 (매도시점에 부과)

- CDSC

  : 이연판매보수제 (Contingent Deferred Sales Charge)

 

*기관 투자자용

- Class I

  : 기관투자자(혹은 거액 개인투자자)를 위한 클래스

  : 판매보수가 매우 낮음

  : 판매수수료 없음

- Class F

  : 판매회사를 통하지 않고, 운용회사에서 투자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클래스

  : 판매보수 없음

  : 판매수수료 없음

  : 보통 개인에게 직접 판매하지 않음

  : 기관이나, 펀드, 기금, 계열사 자금 등 보통 아주 큰 금액만 받음

- Class W

  : Wrap account 전용 클래스

  : 랩어카운트에서 수수료를 따로 부과

 

*온라인 투자자용

- Class A-e

  : Class A의 온라인 버전

  : 선취판매수수료, 판매보수 모두 저렴

- Class C-e

  : Class C의 온라인 버전

  : 판매수수료 없음

  : 판매보수가 20~50% 저렴

- Class S

  : 펀드슈퍼마켓

  : 펀드만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몰, 이곳에서만 파는 전용 클래스

  : 선취판매수수료 없음

  : 판매보수가 Class C 대비 1/3

 

*연금투자자용

- Class C-P

  : 연금저축 전용 클래스

- Class S-P

  : Class S의 연금저축 버젼

 

*판매수수료 vs 판매보수

- 판매수수료는 판매사(은행, 증권)가 고객의 원금에서 직접 차감

- 판매보수는 해당 펀드에서 차감

- 판매수수료는 매매 발생시점에 발생

- 판매보수는 투자기간 중에 펀드평가금액의 일정 비율로 계속 떼어감

- 매매가 빈번한 투자자는 판매수수료가 낮은 게 유리

- 장기투자자는 판매보수가 낮은 게 유리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