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250418
q1: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a1: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은 **목표(Objectives)**와 **핵심 결과(Key Results)**를 통해 조직과 개인의 성과를 명확히 하고, 자율성과 집중을 높이는 일하는 방식입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과 절차를 갖습니다.
⸻
1. OKR의 구성 요소
1. Objective (목표)
•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지를 서술하는 정성적 문장
• 영감을 주고, 도전적이며 분명해야 함
• 예) “고객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2. Key Results (핵심 결과)
• Objective 달성 여부를 측정 가능한 숫자로 나타낸 것
• 일반적으로 2~5개 정도 설정
• 예)
1. NPS(고객추천지수)를 20에서 35로 끌어올린다
2. 고객 문의 평균 응답 시간을 24시간에서 12시간으로 단축한다
3. 신규 UX 개선 과제 5건을 설계·배포한다
⸻
2. OKR의 장점
• 집중(Focus): 중요 목표에만 역량을 집중하도록 돕습니다.
• 정렬(Alignment): 조직, 팀, 개인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 투명성(Transparency): 모든 구성원이 서로의 목표와 진행 상황을 공유합니다.
• 도전(Stretch): 달성 가능하면서도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해 성과를 끌어올립니다.
• 측정(Measurability): 결과를 수치화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3. OKR 도입·운영 절차
1. 분기 혹은 연 단위 계획 수립
• 회사 전체 수준의 OKR을 먼저 설정
• 이를 바탕으로 팀·개인 OKR을 역방향(Bottom‑up)으로 정렬
2. 정기 리뷰(주간·월간)
• Key Results 달성도(예: % 진척)를 체크
• 장애물이나 지원 사항을 공유하고 조치
3. 분기 말(혹은 연말) 평가
• 각 Key Result의 최종 달성도를 점검(0.0~1.0 척도)
• 목표 달성도와 학습 포인트를 기록
• 다음 분기 OKR 수립에 반영
⸻
4. 성공적인 OKR 실천을 위한 팁
• 목표 개수는 최소화: 분기당 Objective 3개 이내, Key Results는 각 3~5개 이내 권장
• ‘완벽 달성’ 보다는 ‘도전적’ 목표 설정: 달성도 평균 60~70%가 이상적
• 정량·정성 균형: 정성적 목표에 정량적 결과를 명확히 연결
• 투명한 공유 문화: 전사 OKR을 모두가 볼 수 있도록 게시판·툴(예: Google Sheets, Asana, Notion 등)에 기록
• 리더의 적극적 리딩: 경영진과 팀 리더가 OKR 문화 정착을 이끌어야 함
⸻
5. 실제 사례 예시
• Google: ’08년 도입 이후 매 분기마다 전사 OKR을 전사 공유, 분기 평균 OKR 달성률 60~70% 유지
• Intel: 창시자 앤디 그로브가 ‘Up‑and‑Down Management’ 기법으로 활용
•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IT 기업도 분기별 OKR 운영으로 애자일(Agile) 성과관리 도입
⸻
OKR은 단순한 목표 관리 도구를 넘어 **조직 문화를 바꾸는 일종의 ‘성과 관리 철학’**입니다. 도입 초기에는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으나, 꾸준한 리뷰와 학습을 통해 집중력·자율성·투명성을 높이는 효과를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